'한옥마을, 100년 미래를 짓다' 심포지엄
건축가·도시학자가 내다본 한옥의 미래
'누구나 살고 싶은 한옥' 위한 방향 제시
전통 주거양식인 한옥을 서울의 대표 주거문화 콘텐츠로 만들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008년 '서울한옥선언'을 통해 은평뉴타운 내 은평한옥마을을 조성한 데 이어 지난해 권역별 한옥마을 조성을 골자로 발표한 '서울 한옥 4.0 재창조 계획'을 점검하는 기회다. 서울시는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새로운 한옥'과 누구나 살고 싶은 '일상 속 한옥'을 위한 한옥마을 신규 조성을 추진 중이다.
26일 서울시 은평구 한문화체험관에서 열리는 '서울한옥마을, 100년 미래를 짓다' 심포지엄은 한옥을 서울의 대표 건축물로 부상시켜 매력있는 서울 경관을 창출해 세계 시장에 내놓겠다는 취지로 기획됐다. ▲2022년 K하우스 한옥의 가치와 주거의 미래 심포지엄 ▲2023년 동아시아(한·중·일) 전통건축 심포지엄 ▲2024년 '새로운 한옥, 또 다른 실험과 도전' 세미나에 이은 서울시의 한옥 정책 토론의 자리로 이번에는 향후 10년간 10개 이상의 한옥마을 조성을 위한 과제와 원칙을 함께 논의한다.
한·일 건축가 및 조경가 등 참여해 '한옥의 미래' 제시… 서울 새 한옥마을은?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새 한옥마을 대상지를 선정한 바 있다. 향후 10년간 총 10곳 이상의 한옥마을 대상지를 선정해 한옥 주거문화와 관련 산업을 확산하겠다는 오 시장의 정책 기조가 반영된 결과다. '한옥마을 대상지 선정위원회'는 ▲강동구 암사동 252-8 일대(7만244㎡) ▲도봉구 방학동 543-2 일대(2만1146㎡) ▲도봉구 도봉동 산 96-4 일대(3만5859㎡) ▲강북구 수유동 산123-13 일대(1만9840㎡) ▲동대문구 제기동 1082 일대(14만1695㎡) ▲은평구 불광동 35번지 일대(2만2623㎡) 등을 찾아냈다.
이번 심포지엄 역시 한옥마을 조성을 위해 한옥 건축가, 조경가, 도시학자와 전문가가 모여 고민과 과제를 논의하고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프로그램은 기조강연, 주제발표, 패널토론 순으로 진행한다. 우동선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전문가 3인의 주제 발표와 도시·건축·조경 분야의 전문가 패널토론이 이뤄진다.
주제 발표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건축가와 조경가가 서울형 한옥마을 조성을 위한 개념과 과제, 한국정원의 아름다움, 그리고 목조건축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한문화체험관을 설계한 구가도시건축사무소의 조정구 건축가는 한옥마을 신규 대상지에 대한 주요한 원칙과 과제들을 발표하고 서울 도시 한복판에 깊은 숲의 생기를 심은 '아모레성수' 정원을 설계한 더가든 대표 김봉찬 조경가는 미래의 한옥마을에서 생태마당 등의 가치와 기능을 가지도록 건축과 조경이 어떻게 관계 맺고 자연과 사람을 담아낼 수 있는지 발표한다. 이어 가나가와 대학교와 한양대학교 교수였고 목조건축의 대가인 도미이 마사노리 교수가 현대 한옥건축의 방향과 목조건축의 가능성 및 잠재력과 사례를 소개한다.
서울시, '한옥' 개념 확장… 규제 완화하고 지원 확대, 세계화까지
서울시는 한옥의 개념을 확장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도 진행 중이다. 한옥을 재해석한 현대 건축물에도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한옥을 통해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 골자다.
세부 추진 계획은 한옥정책 장기 종합계획인 '서울한옥 4.0 재창조'에 그대로 담겼다. 이에 맞춰 서울시는 한옥을 자유롭게 지을 수 있게 건축·심의 기준을 완화할 계획이다. 현재 한옥건축 심의 기준 73개 항목 중 44개는 완화 또는 폐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구조·창호·기와·처마 길이·마당 상부 구조물·마당 높이차 등 33개 심의 기준을 완화하고 가구 배치·창틀·대문 등 11개 항목은 폐지한다. 33㎡ 미만의 소규모 한옥 심의 기준은 입면 비례, 지붕 높이, 처마길이 등을 완화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한옥 건축을 기다리는 시민들에게 기회를 주겠다는 오 시장의 의지가 반영돼 있다. 과거 한옥 전문가들이 설정해 놓은 기준이 높다보니 건축비가 올라가는 등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해주겠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건축 또는 수선을 지원받기 어려웠던 익선동 한옥 카페와 같은 상업용 한옥도 최소 기준만 충족하면 '한옥 건축 양식' 항목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2022년 말 기준 한옥보전구역 내 한옥 신축 시 1억2000만원, 전면 수선 시 9000만원을 지원했다. 한옥보전구역 외 서울 전체 지역에서도 한옥을 신축할 때 8000만원, 전면 수선할 경우 6000만원을 지원했다. 한옥 디자인만 했을 경우에도 기존 지원금의 최대 50%까지는 지원할 계획이다. 한옥 신축 및 수선비용 지원에 쓰일 사업예산은 80억원 수준이다.
한옥 주거문화 매력 확산과 세계화를 위한 방안도 논의 중이다. 북촌과 서촌 한옥마을에 조성된 '공공 한옥 글로벌라운지'는 외국인 방문객을 위한 플랫폼으로 한옥과 주거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된 바 있다. 이밖에 '한옥' 주제 전시·박람회 참여, 기념품 개발, 공모전 개최를 비롯해 국내·외 기업, 지역 장인과의 협업을 통한 한옥 관련 상품 개발 및 산업화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실장은 "한옥은 더 이상 전통에만 머무르지 않고 도시 현안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새로운 시도를 통해 새롭게 아름다워져야 한다"며 "서울 곳곳에 자연환경과 상생하는 미래형 한옥마을 조성을 위해 더 고민하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전주까진 못 가요"…1140조 굴리는 국민연...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