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AI한입뉴스]오픈AI, 크롬 자리까지 노리나…구글 판 흔든다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AI 검색 넘어 구글 왕국 넘보는 오픈AI
웹브라우저 개발 검토…크롬 매수 가능성도
'구글 동맹' 삼성전자에는 러브콜

오픈AI가 구글의 텃밭인 검색 엔진을 넘어 웹브라우저를 넘보고 있습니다. 구글 안드로이드 진영의 핵심 파트너인 삼성전자와는 새로운 동맹을 추진할 조짐인데요. 구글이 크롬 매각 위기에 처한 가운데 오픈AI는 검색, 웹브라우저, 모바일 등 구글 왕국을 위협하는 모양새입니다.
21일(현지시간) IT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오픈AI가 챗봇과 결합한 웹브라우저를 개발하기 위해 구글 크롬의 핵심 개발자 2명을 영입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웹브라우저 프로토타입을 본 사람들의 말을 인용해 여행, 음식, 부동산, 리테일 웹사이트 검색 기능에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죠. 이를 위해 미디어 기업 콘데나스트, 부동산 중개 플랫폼 레드핀, 여행 플랫폼 프라이스라인 등 관련 플랫폼사와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AI한입뉴스]오픈AI, 크롬 자리까지 노리나…구글 판 흔든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뿐만이 아닙니다. 오픈AI가 삼성전자 기기에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는 소식도 들려옵니다. 양사가 손잡게 되면 삼성전자 갤럭시 AI에 챗GPT를 통합하는 방안이 유력해요. 아이폰에 도입된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에 챗GPT를 연동한 것처럼 말이죠.
웹브라우저 개발에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 모색까지. 이는 한 마디로 구글에 대한 정면도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글에게 웹브라우저는 검색과 광고 시장을 장악하는 '본진'이고 삼성전자는 모바일 시대 생존 파트너이기 때문이죠.
웹브라우저부터 볼까요. 웹트래픽 분석 사이트인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점유율 1위는 구글의 크롬(66%) 입니다. 3명 중 2명이 크롬을 쓰는 셈이죠. 애플 사파리(18%)나 마이크로소프트(MS)의 엣지(5%)를 크게 웃도는 수준입니다.
구글은 크롬을 통해 검색 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검색 점유율은 90%에 달하는데 대부분의 검색이 크롬을 통해 이뤄져요. 크롬에는 구글의 AI 서비스 제미나이도 연동돼 있습니다. 구글의 주요 서비스로 연결해주는 관문인 셈이죠. 크롬을 통해 모은 이용자 데이터를 검색 광고에 접목해 막대한 매출을 올리는 수익 기반이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오픈AI가 웹브라우저 경쟁자로 등장하면 구글의 입지가 약해질 수 있죠.
삼성전자와의 협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바일 기기 아이폰과 운영체제(OS) iOS까지 거머쥔 애플에 대항하기 위해 구글은 안드로이드 진영을 꾸렸는데 이 진영의 핵심이 바로 삼성전자입니다. 지금까지도 양사 동맹은 이어지고 있는데요. 갤럭시 시리즈에는 구글의 AI 검색 기능인 '서클 투 서치'나 제미나이가 탑재돼 있습니다. 이 자리를 오픈AI가 빼앗거나 일부 대체할 경우 안드로이드 생태계에 균열이 갈 수 있어요.
오픈AI가 구글의 텃밭을 넘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사실 2022년 챗GPT를 선보인 것부터가 검색의 근간을 흔들 만한 사건이었죠. 여기서 더 나아가 MS 빙에 챗GPT를 연동하고 자체 검색 엔진인 '서치 GPT'까지 내놓는 등 구글이 장악한 검색 시장을 노렸어요. 누구나 AI 챗봇을 사고팔 수 있는 'GPT 스토어'를 통해선 구글 플레이스토어처럼 AI 판 앱스토어를 표방했습니다. 웹과 모바일에서 AI로 생태계 중심을 옮겨오기 위해 판을 하나씩 흔드는 모습이었죠.
웹브라우저도 이와 흐름을 같이 합니다. 오픈AI는 내년 1월을 목표로 코드명 '오퍼레이터'라는 AI 에이전트(비서)를 준비하고 있는데요. 웹브라우저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범용 도구의 형태일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집니다. PC에서 데이터를 찾고 소프트웨어(SW) 등 각종 도구를 활용해 다양한 작업을 처리하려면 웹브라우저와 연동하는 게 용이하기 때문이죠.
오픈AI의 도발은 구글이 처한 상황과 대조돼 더욱 눈길을 끕니다. 미국 법무부는 검색 시장에서 구글의 불법적인 독점을 문제 삼아 크롬 매각을 요구했는데요. 이 요구가 현실화될 경우 오픈AI가 유력한 매수자로 떠오를 수 있다는 겁니다. 아마존과 메타도 후보군으로 거론되지만 이들 역시 반독점 조사를 앞둬 선뜻 나서기 어렵다는 전망입니다.




최유리 기자 [email protected]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