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작 의혹 속에 의구심 커진 여론조사
참고 수단 넘어 의사 결정 지위 차지
감시 강화하고 역할 줄여야
여론조사는 문항 설계나 조사 방식, 조사의뢰자나 조사기관에 대해 정치적 선입견을 갖는 하우스 효과(house effect) 등 여러 이유로 편향과 오류의 위험이 있다. 미국 대선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후보를 지지하지만 이를 밝히지 않는 ‘샤이 트럼프’ 문제를 두고서 선거 때마다 표심을 파악하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다. 우리도 10·16 부산 금정구청장 보궐선거와 관련해 '박빙'이라는 여론조사를 받아봤지만. 선거 결과는 여당 후보가 22.1%포인트 압승으로 끝났다. 이처럼 여론조사는 실제 여론을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최근 명씨 관련 조작 논란을 겪으며 여론조사의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다.
더 나아가 정당의 가장 중요한 역할 가운데 하나인 공직 후보 추천 과정에서 여론조사는 당락을 좌우하고 있다. 지난 총선의 경우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현역의원 컷오프부터 실제 경선까지 여론조사를 선택의 기로마다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계파별로 나눠 먹던 공천 방식을 국민에게 돌려주겠다는 취지였지만 확률적 통계의 모호성과 조작 위험성 앞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통계학상 오차범위 내 격차는 우열을 가릴 수 없다. 하지만 공천에서 이 숫자는 당락을 결정한다. 더욱이 정당 여론조사의 경우 공표용 여론조사와 달리 사전 신고 의무가 없어 마땅한 감시 수단도 없다. 이 때문에 후보자들은 부당하다고 여겨도 당과 등질 각오를 하고 재심을 청구하거나 고소·고발전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
논란의 발단은 명씨였을지 몰라도, 여론조사 문제는 이미 곪을 대로 곪아왔던 문제였다. 어떻게 풀어야 할까.
더욱 근본적으로는 여론조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 학계에서는 ‘주술처럼 사용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한다. 여론조사가 정치 과정에 포함된 것은 사실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여론조사는 참고자료라는 본래 기능으로 역할을 되돌려야 한다. 값싸고 빠른 게 언제나 능사는 아니다.
꼭 봐야할 주요뉴스
내년 10월 10일 무슨 날이길래…국민 60%가 바라는...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