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이 대표적이다. 한미 미사일 지침은 박정희 정부 말기인 1979년 10월에 만들어졌다. 미국은 한국이 비밀리에 핵무기를 개발해 미사일에 장착하려 한다거나 한국이 미사일 기술을 적성국에 수출할 우려가 있다면서 반대했다. 그 결과 한국은 국제사회의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와 별도로 한미 미사일 지침에도 묶이게 됐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은 커졌고, 한미는 4차 개정을 통해 사거리와 탄두 중량 제한을 모두 해제했다. 미사일 지침이 만들어진 지 42년 만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 때도 중국은 들고 일어섰다. 사드를 미국의 대중국 포위 무기체계로 간주했다. 사드 레이더가 중국의 군사 활동을 감시하고,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공격무기라고 인식했다. 북한이 4차 핵실험을 한 2016년 1월 6일에는 박근혜 당시 대통령의 전화도 받지 않았다. 불만의 표시였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16년 3월 박 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도, 2019년 문재인 전 대통령과의 두 차례 회담에서도 항의했다. 2017년 12월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미국 MD 가입, 사드 추가 배치, 한·미·일 군사동맹 등이 불가하다는 이른바 ‘3불(不)’을 다룬 ‘10·31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존중을 시사했다.
중국의 억지는 논리에 맞지 않는다. 사드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800㎞ 내외다. 중국 탐지가 어렵다. 미국은 사드 말고도 해상기반 X-밴드 레이더와 이지스 방어체계, 각종 특수정찰기와 위성 등 대중 정찰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을 겨냥했다면 굳이 사드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사드는 북한의 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꼭 봐야할 주요뉴스
내년 10월 10일 무슨 날이길래…국민 60%가 바라는...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