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외 상장사는 8697억원에 불과
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주식기준보상을 부여한 167개 기업의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했다. 2022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부여된 주식기준보상 총액은 4조4360억원이다. 이 중 대기업집단 상장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80%에 달해 상위 대기업 주식 보상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대기업집단 상장사(59곳)는 2022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3조5662억원의 주식기준보상을 지급했다. 이 중 주식매수선택권 외 주식기준보상(스톡그랜트, RSU, PSU 등)이 1조6295억원(45.7%)을 차지했다. 연도별로는 2022년 1조5628억원, 2023년 1조2780억원, 올해 상반기 7255억원을 각각 지급했다.
대기업집단외 상장사(108곳)는 같은 기간 8697억원의 주식기준보상을 실시했고, 이 중 주식매수선택권이 6109억원(70.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도별로 보면 2022년 3531억원, 2023년 3259억원, 올해 상반기 1907억원이다.
현대차 는 2022년 2101억원, 2023년 2861억원, 올해 상반기 12억원을 주식기준보상으로 지급했다. 현대차는 매년 하반기 임금협상에 따른 주식을 지급하는데, 올해 3월에는 우수 임원을 대상으로 RSU 제도를 새롭게 도입했다. 현대차는 올 하반기 역대 최대인 5601억원 규모 주식을 지급했다.
네이버는 2년 반 동안 총 3321억 원의 주식 보상을 부여했다. 이 중 2022년 703억원, 2023년 772억원, 올해 상반기 388억원이 스톡그랜트로 지급됐다. RSU는 2022년 712억원, 2023년 747억원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 은 올해 상반기에만 1667억원 규모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했으며, 기아 는 매년 하반기 임금협상에 따라 주식을 지급해 이달 약 1695억원 규모의 주식 지급이 예상된다. SK하이닉스 역시 2442억원을 주식기준보상으로 임직원에게 지급했다.
주식기준보상 상위 20곳 중 19곳이 대기업집단 계열사로 나타났다. SK그룹은 4개 계열사가, 현대차그룹과 한화그룹은 각각 3개 계열사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대기업집단 외 상장사 중에서는 현대엘리베이터가 499억원 규모로 유일하게 상위 20위권에 포함됐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해 11월 10일 "우리사주 활성화를 통한 근로자 경제·사회적 지위향상과 노사협력 증진을 도모하겠다"며 우리사주조합에 주식을 처분했다.
꼭 봐야할 주요뉴스
"어버이가 좋아하는~"…김정은 '아파트' 대박에 지...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