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아세안 반도체, 세계 수출 20% '다크호스'…美 신정부에도 성장세 이어질 것"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무협, '아세안 반도체 산업의 도약' 보고서 발간
"中 의존도 완화 위해 아세안 국가 협력 필수"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반도체 성장세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나왔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등 아세안 3국 반도체 수출은 2022년 기준 세계 반도체 수출의 19.5%에 달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10일(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 손싸이 시판돈 라오스 총리 등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윤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손싸이 시판돈 라오스 총리, 리창 중국 총리.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10일(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 손싸이 시판돈 라오스 총리 등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윤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손싸이 시판돈 라오스 총리, 리창 중국 총리.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7일 발간한 '아세안 반도체 산업의 도약' 보고서에 따르면 아세안은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중국 외 거점을 확보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최대 수혜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세안은 반도체 패키징 분야의 전통적 강자다.
보고서는 아세안 내에서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에 주목했다. 말레이시아에는 인텔, 싱가포르에는 글로벌파운드리, 베트남에는 삼성 등이 각각 투자했다. 미국의 대중 압박이 거세지며 아세안 지역에 진출하는 중국 기업도 늘고 있다. 말레이시아 페낭 내 중국 기업은 16곳에서 55곳으로 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는 3개국 최대 수출 산업이다. 2022년 기준 3개국 반도체 수출은 세계 반도체 수출의 19.5%를 차지했다. 2014~2022년 반도체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말레이시아 10.7%, 베트남 27.3%로 중국(9.9%), 한국(9.3%)보다 높다.
아세안 국가들은 인적 자원과 지정학적 강점을 바탕으로 반도체 생산 거점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싱가포르는 자국 내 기술 역량 혁신과 법인세 감면을 통한 해외 투자 유치를 목표로 세웠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국가 전략을 바탕으로 1000억달러(약 140조원) 규모 투자를 통해 첨단 패키징 기술과 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역시 2050년 반도체 산업 매출 100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자국 내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보고서는 조립·테스트·패키징 등 후공정 위주 아세안 반도체 산업 특성상 첨단 기술 및 장비를 중심으로 하는 미국의 대중국 제재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했다. 특히 패키징은 범용 장비를 사용하고 개별 업체의 노하우가 중요한 분야여서 제재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봤다. 향후 미국이 제재를 강화하고 첨단 패키징 자국 생산을 유도하더라도 세계 첨단 패키징 수요가 급증하는 만큼 아세안과의 협력은 확대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아세안과의 협력이 대중 의존도 완화 및 공급망 다변화뿐만 아니라 한국 후공정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제언했다. 한국은 후공정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2021년 기준 후공정 시설 분포 현황을 보면 중국 134개, 대만 111개, 아세안 95개, 북미 75개, 일본 31개, 한국 24개다. 아세안이 첨단 패키징 파트너로 떠오르는 이유다. 노동력 확보 차원에서 아세안 국가와 공동 인력 양성을 할 필요도 있다는 지적이다.
허슬비 무협 연구원은 "아세안은 반도체 공급망 다각화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이자 한국 후공정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 대상"이라며 "아세안 각국의 대미·대중 협력 정도가 상이한 만큼 미국 신정부 통상 정책에 맞춰 맞춤형 협력 전략을 세우고 리스크 분산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채석 기자 [email protected]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