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국회 예산 심사 지적
회의록 안 남는 '소소위' 심사 문제
근본적 해법은 국회 예산심사 손봐야
감사원은 관계 법령에 따라 지방정부로 넘어간 사업에 (투입되면 안 되는) 중앙정부 예산이 투입된 점 등을 지적하며, ‘투명성’이 부족한 예산안 심사 과정을 문제 삼았다. 특히 문제가 된 지점은 예산안 심사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국회 ‘증액 심사’ 였다.
감사원의 이같은 지적은 국회 예산심사의 틀을 흔들고 있다. 그동안 예결위는 십여명 남짓 여야 의원을 예산안조정소위(소위) 위원으로 삼아 예산안을 심사하는데, 이들은 주로 지역 대표성을 고려해 각 당에서 선정된다. 이 때문에 지역에서는 소위 위원들을 지역 예산 ‘해결사’ 취급을 했는데, 올해 심사에서는 지역 관련 민원 사업이 다뤄지지 않고 있다.
이런 일련의 상황에 대해 예결위와 국회는 자존심이 단단히 상했다.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가 민의를 예산안에 반영하려 한 것인데, 감사원이 이를 지적한 것은 잘못됐다는 것이다. 국회에서 감사원의 ‘사과’ 등이 거론되는 것도 이런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
예산안 심사를 담당했던 이들은 예산안이 처리된 뒤에는 "지금 방식으로는 안 된다"고 고개를 흔들곤 했다. 하지만 예결위원장도, 간사도 매년 새롭게 바뀌는 탓에 똑같은 무대, 똑같은 의상에 배우만 바뀐 채 똑같은 연극이 상영됐다. 9000여개에 달하는 사업을 십여일 남짓 기간 심사하는 것은 '부지런함'과는 다른 차원의 문제다. 박정 예결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이 방대한 양을 심사하려면 한 두세 달은 봐야 한다"며 "예결위가 1년 내내 열려 그때그때 심사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불투명한 예산심사에 제동이 걸린 이때, 국회는 자존심만 세울 게 아니라 무대를 새롭게 바꾸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꼭 봐야할 주요뉴스
일체형 세탁건조기가 70만원대…'1만 시간' 연구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