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산유국인데 기름이 없어요"…나이지리아 국민들 고통받는 이유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풍부한 유전 지대를 보유한 산유국인 나이지리아는 높은 '기름값'에 신음하고 있다.

현재 나이지리아의 기업들은 유전에서 석유를 퍼 올려, 해당 원유를 해외에서 정제한 뒤 다시 수입해 국민들에게 판매한다.

실제 나이지리아 무역 구조를 보면, 원유는 수출하고 정제된 연료·석유화학 제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닫기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원유 정제업 부족한 나이지리아
석유 기업들은 원유 수출로 떼돈
일반 국민들은 물가 상승에 신음

풍부한 유전 지대를 보유한 산유국인 나이지리아는 높은 '기름값'에 신음하고 있다. 영국 공영 BBC 방송은 이런 역설적인 상황의 배경에 '석유 산업'의 주도권을 둔 알력 다툼이 있다고 18일(현지시간) 분석했다.
BBC에 따르면, 나이지리아는 1956년 처음 유전을 발견했다. 그러나 석유 산업은 나이지리아의 일반 국민들에게 경제적 혜택을 주지 못하고 있다. 원유를 석유화학 제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 정부와 독점 기업 사이의 불법 거래가 횡행하는 탓이다.
원유 정제 산업 부족한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는 산유국이지만, 정작 휘발유는 부족해 연료 대란이 산발적으로 벌어진다. 게티이미지 나이지리아는 산유국이지만, 정작 휘발유는 부족해 연료 대란이 산발적으로 벌어진다. 게티이미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일반적으로 석유 산업은 두 종류로 나뉜다. 유전에서 원유를 뽑아 올리는 '업스트림', 그리고 뽑은 원유를 정제해 연료나 기타 화학 제품으로 가공하는 '다운스트림'이다. 원유를 뽑아 올리는 시설(해상 플랫폼 등)의 구축에도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지만, 원유 정제 시설을 개발하는 일도 상당한 노동력과 자본을 들여야 한다.
미국, 중동 등 오늘날 세계 최대의 산유국은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모두 고도로 발전했다. 하지만 동일한 산유국인 나이지리아에선 다운스트림 산업이 거의 발달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 싱크탱크 '유라시아 그룹'의 아프리카 지역 책임자인 아마카 안쿠는 매체에 "다운스트림 부문에서 비효율적이고, 부패한 독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석유 제품 수출입 과정, 일부 카르텔이 독점

원유는 해외의 불법 정제소에 수출된 뒤 다시 국내로 수입돼 비싼 가격에 판매된다. 게티이미지 원유는 해외의 불법 정제소에 수출된 뒤 다시 국내로 수입돼 비싼 가격에 판매된다. 게티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

현재 나이지리아의 기업들은 유전에서 석유를 퍼 올려, 해당 원유를 해외에서 정제한 뒤 다시 수입해 국민들에게 판매한다. 실제 나이지리아 무역 구조를 보면, 원유는 수출하고 정제된 연료·석유화학 제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을 독점하며 돈을 버는 이들은 극소수의 기업과 정치인들이다. 이런 이권 그룹이 형성한 '석유 마피아'는 나이지리아에 국내 다운스트림 시설을 지으려는 노력도 집요하게 방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BBC는 "나이지리아 국민들은 지난 수년간 엄청난 규모의 사기를 당해 온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 결과 나이지리아는 산유국임에도 정작 연료와 각종 생필품 가격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들의 항의를 두려워한 현지 정부는 2022년 기준 무려 100억달러(약 14조원)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불해 연료 가격을 강제로 낮추고 있는데, 이런 무리한 보조금 정책이 정부 재정에도 부담을 주고 있다.
결국 지난해 볼라 티누부 나이지리아 신임 대통령은 "보조금 정책은 지속 불가능하다"며 연료 보조금 일부를 삭감했다. 이후 나이지리아의 휘발유 가격은 3배 폭등했으며, 달러 대비 환율은 4배 가까이 추락했다. 결국 연료비를 감당할 수 없게 된 일반 시민들은 전기 공급을 위해 발전기를 따로 구매해 가동해야 하는 처지에 몰렸다.




임주형 기자 [email protected]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