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딥페이크' 범죄 확산에…"카톡 프로필부터 바꾸세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딥페이크 범죄가 확산하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 계정을 폐쇄하거나 비공개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A씨는 연합뉴스에 "SNS에 올렸던 아이들 사진이 딥페이크 범죄에 악용될까 봐 마음에 걸렸다"며 "주변에도 사진을 비공개하는 사람들이 하나둘 늘어가는 중"이라고 이야기했다.

기술이 고도화되고 최근 이목이 쏠렸던 성 착취물 제작을 비롯해 납치를 빙자한 전화금융사기, 협박 등 딥페이크 범죄가 다양해지면서 A씨처럼 SNS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거나 아예 폐쇄하는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닫기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사진 몇 장·동영상1~2개로도 합성해
경찰청도 "SNS 공개 계정 지양" 경고

딥페이크 범죄가 확산하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폐쇄하거나 비공개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딥페이크' 범죄 확산에…"카톡 프로필부터 바꾸세요"
AD
원본보기 아이콘

9일 연합뉴스는 어린이집을 다니는 자녀 2명을 둔 30대 여성 A씨의 사례를 보도했다. A씨는 최근 누구나 볼 수 있던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친구 공개로 전환했다. 카카오톡도 상대에 따라 각기 다른 프로필 사진을 보여줄 수 있는 '멀티프로필'을 활용하고 있다. A씨는 연합뉴스에 "SNS에 올렸던 아이들 사진이 딥페이크 범죄에 악용될까 봐 마음에 걸렸다"며 "주변에도 사진을 비공개하는 사람들이 하나둘 늘어가는 중"이라고 이야기했다.
기술이 고도화되고 최근 이목이 쏠렸던 성 착취물 제작을 비롯해 납치를 빙자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협박 등 딥페이크 범죄가 다양해지면서 A씨처럼 SNS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거나 아예 폐쇄하는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범죄가 목소리 흉내에 그쳤다면 이제는 실제에 가까운 자녀의 얼굴이나 목소리를 활용해 부모에게 심리적 압박을 가하는 범행도 이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SNS에 올린 사진 몇 장이나 영상 한두 개를 가지고도 딥페이크 영상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발전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지난 10월 딥페이크 영상을 이용한 납치 협박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외국인 B씨는 한국을 여행하던 딸이 감금된 채 울면서 "살려달라"라고 하는 영상을 받았다. 상대방은 돈을 보내라고 협박했지만, 알고 보니 영상은 가짜였고 딸은 안전한 상황이었다. 지난 7일 경찰청은 이러한 사례를 공개하면서 SNS 전체 공개 설정을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달 들어 지방의원들이 딥페이크 불법 합성물이 담긴 협박성 메일을 받기도 했으며, 10대 학생이나 교사를 상대로 한 딥페이크 성 착취물 피해도 현재 진행형이다. 교육부는 올해 1월부터 11월 1일까지 딥페이크 허위 영상물 피해 학생은 883명, 교원 피해자는 33명으로 각각 집계됐다고 밝혔다.
현직 교사 카페에서도 "SNS를 모두 비공개로 돌리거나 삭제해야 한다", "카카오톡 프로필에 자식이나 배우자 얼굴도 올리면 안 된다"는 등 '자구책'을 공유하고 있다.




구나리 기자 [email protected]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