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북한, 남측이 지어준 '개성공단 송전탑'까지 철거 착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적대적 두 국가론'에 따른 조치로 풀이

북한이 경의선·동해선 육로를 폭파한 데 이어 개성공단 전력 공급을 위해 남측이 지어줬던 송전탑까지 철거하려는 것으로 파악됐다. 남과 북이 교전 상태에 있다는 '두 국가론' 선언 이후 양측의 연결을 단절하려는 움직임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26일 군 당국에 따르면 복수의 북한 군인들이 지난 24일부터 경의선 주변 송전탑에 올라가 일부 송전선을 절단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군 관계자는 북한군의 움직임에 대해 "송전탑을 철거하기 위한 작업의 일부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개성공단으로 이어지는 송전탑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훼손된 개성공단지원센터. 연합뉴스 개성공단으로 이어지는 송전탑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훼손된 개성공단지원센터.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 관계자는 "(남측과 연결됐던) 북한에 있는 첫 번째 송전탑에 있는 선을 잘랐고, 끊은 선들은 송전탑 밑에 쌓아뒀다"며 북한이 송전탑까지 철거에 나설지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철탑 형태의 송전탑은 지난달 15일 북한이 폭파한 군사분계선(MDL) 바로 북측 지점부터 개성공단까지 수백 m 간격으로 지어져 있다. 남측 문산에서 북한 평화변전소로 이어지는 송전 구간에만 철탑 48기가 있고, 북측에는 총 15기가 있다. 한국전력이 건설한 이들 송전설비는 2006년 12월 연결 이후 개성공단에 전기를 공급해왔지만,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을 계기로 전력 공급이 중단됐다. 남북 관계가 해빙기를 맞았을 때 전력 공급이 일부 재개되기도 했지만, 2020년 6월 북한이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일방적으로 폭파하면서 다시 끊겼다.
송전탑 철거 움직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두 국가론'을 선언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평가된다. 김 위원장은 올해 1월 남북 관계는 더 이상 동족이 아니라면서 '적대적인 두 국가'이자 '교전 중인 상태'라고 규정했다. 이후 북한 당국은 올해 3월 경의선·동해선 도로 가로등을 철거했고, 5월에는 철로 침목을 제거했다. 이어 지난 10월에는 아예 도로 연결구간까지 폭파했다.




장희준 기자 [email protected]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