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46년간 운영 마무리 ‘또 다른 항해를 준비하다’… 부산항만공사, 대형 안벽크레인 이전 개시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북항 컨테이너부두 기능 재배치 계획

1번째 안벽크레인 자성대부두→감만부두

부산항만공사(BPA)는 북항 컨테이너부두 기능 재편 계획에 따라 자성대부두에서 신감만부두와 감만부두(1번 선석)로 옮겨갈 총 6기의 대형 안벽크레인(C/C) 중 첫 번째 크레인 이전이 완료됐다고 전했다.
CC 1호기 자성대부두에서 출항 시작. CC 1호기 자성대부두에서 출항 시작.
AD
원본보기 아이콘
1978년 개장한 자성대부두는 북항 재개발 2단계 대상부지로 지정돼 올해 말까지 부두 운영을 마무리한다. 자성대부두는 우리나라 최초 컨테이너부두로 개장한 뒤 지난 46년간 부산항을 글로벌 허브 항만으로 성장시키는 데 큰 기틀을 마련한 부두로 평가받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지난해부터 정부 협업 전담 조직인 ‘북항운영준비단(TF)’을 운영해, 관련 이전 일정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번 안벽크레인 이전은 ’24년 3월 기존 신감만부두 운영사의 신항 이전, 9월 자성대부두 운영사의 신감만부두 동시 운영에 이어 마지막으로 추진되는 일정이다.
자성대부두 운영사인 한국허치슨터미널은 자성대부두에서 사용해온 안벽크레인 중 6기를 이전 부두인 감만부두(4기)와 신감만부두(2기)로 3개월간 2차례에 나눠 단계적으로 이전·설치해 운용할 계획이다.
장비 이전 작업은 국내외 하역장비 제작업체와 안전 점검업체, 운송업체 등과 함께 추진된다. 안벽크레인은 선박에 컨테이너화물을 싣고, 내리는 장비로 최대 높이 120m, 최대 하중 약 1200t의 대형 구조물로 해상으로 운송해야 한다.
그러나 부산항대교의 선박 통항 높이가 60m로 제한돼 부득이 크레인을 해체·절단해 해상 이송(바지선) 후 신규부두에서 재조립을 해야한다. 그 과정에서 정밀한 구조·기술적 계산과 안전한 작업이 진행돼야 함은 물론 풍속, 파고, 조류 등 기상여건도 잘 맞춰져야 한다.
자성대부두에서 부산항대교를 통과하는 모습. 자성대부두에서 부산항대교를 통과하는 모습. 원본보기 아이콘
이와 함께 현재 자성대부두는 매주 47척의 정기 컨테이너선이 접안해 24시간 쉼 없이 하역작업을 하고 있어, 부산항의 중단없는 항만운영을 위해, 부산항만공사와 허치슨터미널은 지난 9월 4일 신규부두에 첫 선박이 접안한 이후 장비 이전 기간 동안 자성대부두와 신규부두를 동시 운영하고, 장비 이전이 완전히 마무리되고 운영이 정상화되면 신규부두를 정식 개장할 계획이다.
세부 이전과정은 먼저 크레인의 구조물과 케이블을 안전하게 절단해 구조물을 낮춘 뒤 바지선에 그 상태로 적재해 신감만부두와 감만부두로 이동시킨다.
신규 사업장에 도착하면 바지선에서 크레인을 들어 올려 재조립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시운전을 통해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한 후 정식 운영에 돌입할 예정이다.
최초 이전 CC 1호기 부산항대교 통과후 감만부두1번선석에 접안 모습. 최초 이전 CC 1호기 부산항대교 통과후 감만부두1번선석에 접안 모습. 원본보기 아이콘
1차 이전이 끝나면 남은 크레인도 11월 장비 해체를 시작해 12월까지 순차적으로 완료될 예정이고, 안벽 크레인 외 자성대부두에 남아있는 RTGC 등 하역 장비도 육·해상을 통해 차례대로 이동할 예정이다.
BPA 강준석 사장은 “부산항의 물류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면서 안벽크레인이 안전하게 이전할 수 있도록 정부, 부두 운영사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으며, 앞으로 북항이 인트라 아시아 선사 거점항으로 특화된 기능을 유지·강화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해나갈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email protected]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