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도 안 하고 구직도 안 하는 청년들 급증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주요 원인…한은 분석 보고서
2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배경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고용시장에 나타나고 있는 '쉬었음' 인구 증가는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층이 주도하고 있다.
3분기 기준 국내 쉬었음 인구는 235만명인데 그중에서도 청년층(25~34세)이 차지하는 비중은 29.5%로 작년 4분기 22.7%에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청년층 쉬었음을 취업경험 유무로 나누어 살펴보면 최근 늘어난 쉬었음 증가는 대부분 취업경험이 있는 청년층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않고 쉬는 것이 아니라 취업을 경험한 이후 더 이상 구직을 하지 않고 쉬었음으로 이탈한 사례가 늘어났음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청년층 자발적 쉬었음은 일자리 미스매치 등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는 청년층 고용의 질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큰 폭으로 하락한 뒤 여전히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등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년층은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높고, 일자리를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 일자리 선택의 기준이 높은데 일자리의 질이 나빠져 쉬고 있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결국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미스매치 현상은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보고서는 청년층의 쉬었음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영구이탈하거나 니트족(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어진 사람)화 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거 흐름을 살펴보면 청년층 단기 쉬었음 증가는 장기 쉬었음 증가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쉬었음 상태가 장기화할수록 근로를 희망하는 비율이 줄어들고, 그로 인해 실제 취업률도 낮아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비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둔 지 1년 이내인 청년층의 경우 근로희망 비율이 90% 수준이나 1년이 지날 경우 수치는 50% 내외로 하락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수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쉬었음 상태에서 취업에 성공할 확률은 실업 상태인 것에 비해 현저히 낮다"며 "청년층 쉬었음 증가는 향후 노동공급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므로 이들을 다시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꼭 봐야할 주요뉴스
거리로 뛰쳐나온 '처단 대상' 전공의…與 '탄핵 보...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