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고령자 고용정책 관련 기업인식 조사
기업 10곳 중 7곳은 정년이 연장되면 월급을 근속 연수에 따라 올려주는 연공급 체계 때문에 경영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300인 이상 기업의 인사노무 담당자 121명을 대상으로 한 고령자 고용정책 관련 기업 인식 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응답한 기업 중 67.8%가 정년 연장이 부담된다고 답했으며 그 이유로 연공급 인건비 증가(26.0%), 조직 내 인사 적체(23.2%), 청년 채용에 부정적 영향(19.3%), 고령 근로자 생산성 저하(16.6%) 등을 꼽았다.
정부와 노사 대표들이 모인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는 고령자 고용을 위한 방안으로 '계속고용제도'를 검토 중이다. 계속고용제도는 정년이 지나도 근로자가 계속 일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경사노위는 내년 1분기까지 사회적 합의를 끌어낼 계획이다.
조사 결과 기업의 71.9%는 퇴직 후 다시 고용하는 방식을 선호했다. 반면 정년 자체를 늘리는 방식을 선호하는 기업은 24.8%, 정년을 아예 없애는 방식은 3.3%에 그쳤다. 기업들은 퇴직 후 재고용을 선호하는 이유로 고용 유연성 확보(35.2%), 전문성이나 희망자만 재고용 가능(25.8%), 임금 수준을 조정할 수 있는 점(24.5%) 등을 꼽았다.
한경협은 "퇴직 후 재고용 방식이 고령 근로자 생산성에 맞게 근로시간과 임금을 조정할 수 있어 인력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기업들은 고령자 고용에 대한 어려움으로 건강 문제와 산재 리스크(28.9%), 생산성 저하(28.9%), 높은 인건비 부담(24.8%) 등을 지적하며 여러 우려를 나타냈다.
고령자 고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와 국회가 먼저 해야 할 과제로는 인건비 지원 확대(28.1%), 세제 혜택 제공(24.0%), 임금체계 개편 절차 개선(22.3%), 파견 및 기간제 규제 완화(21.5%) 등으로 조사됐다.
이상호 한경협 본부장은 "경직된 노동시장과 생산성을 반영하지 않는 임금 체계가 기업이 고령 인력을 활용하는 데 큰 부담을 준다"며 "일률적인 정년 연장보다는 고령자 고용 혜택을 확대하고 직무 가치나 생산성을 반영하는 임금 체계로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꼭 봐야할 주요뉴스
조국, '尹 탄핵안' 표결 못해…"잠시 여러분 곁을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