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11월 금리 결정, 환율이 새 고려 요인"

이창용 G20 동행기자단 간담회
7월 선제적 인하 실기론 적극 반박
"환자 더 아프게 해 명의 소리 들으라는 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오는 11월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결정에서 환율이 새로운 고려 요인으로 들어왔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연차총회에 참석 후 동행기자단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그는 “미국이 피벗(pivot·방향 전환) 하면 환율이 안정된 방향으로 갈 것으로 예상했지만 10월 금통위 회의가 끝나고 지난 2주간 미국 대선 향방, 예상보다 견고한 미국 성장세 등으로 미국이 금리를 빨리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커지면서 달러가 굉장히 강해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달러 환율이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 높게 올라있고 상승 속도도 빠르다"며 "지난 10월 금통위에는 고려 요인이 아니었던 환율이 (11월 금통위에서) 다시 고려요인으로 들어왔다”고 말했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달 11일 기준금리를 연 3.50%에서 3.25%로 0.25%포인트 내렸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였던 2020년 5월 이후 4년5개월만에 이뤄진 인하며, 금리인상 사이클을 시작한 2021년 8월부터는 3년2개월만이다.이 총재는 “수출 증가율 둔화와 거시건전성 정책이 금융 안정에 주는 효과, 미국 대선 이후 달러 추세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11월 인하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 후 동행기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 후 동행기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이 총재는 지난 8월 기준금리를 동결해 인하 시기를 놓쳤다는 ‘금리 인하 실기론’에 대해서는 "1년쯤 지나 (경제, 금융안정 등의) 결과를 보고 얘기해달라”고 했다.
그는 "일각에서는 미국 따라 금리를 올릴 때 한은이 좌고우면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을 고려하면서 금리를 더 올리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 외통수에 걸렸다는 의견이 있는데, 이건 아픈 환자를 더 아프게 만든 뒤 약을 줘 낫게 해 명의라는 말을 들으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며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인플레이션이 2%대로 안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던 지난 7월부터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췄어야 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때 금리를 내렸으면 9월 가계부채가 10조원까지 불어나고 서울 등 부동산 가격이 올랐던 상황이 더 심각해지지 않았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통화정책을 펼칠 때 금융 안정을 유지하면서 경기 침체를 막아내야 하는 이중 난제에 봉착한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1년쯤 뒤 경기도 크게 후퇴 안 시키고, 금융 안정도 달성하면 그때 가서 결과를 보고 잘잘못을 판단해달라는 것이다.


이 총재는 IMF 총회 주요 논의 결과도 전했다. 그는 "글로벌 성장세는 생각보다 잘 버티고 있지만, 다운사이드(하방) 리스크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전했다. 올해 글로벌 성장률이 3.2%로 20년 전(3.8%)보다 낮아지는 등 팬데믹 이후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가 구조적으로 성장세가 줄었다는 것이 전반적인 평가라는 것이다.


이 같은 저성장 상황에서 선진국들의 높은 부채와 지정학적 위험, 낮은 생산성이 글로벌 성장세의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 총재는 "곧 있을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공화당 어느쪽이 정권을 잡든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달러 기축통화 지위를 이용한 미국의 팽창 정책은 상당 기간 계속될 것"이라면서 "이로 인한 미국의 재정적자 상황 또한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해서는 "결과는 열어봐야 알 것"이라면서 "누가 되든 대중 정책 만큼은 전반적으로 강성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기후 위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일어나고 있고 재정손실로 이어지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준비가 미비하다는 우려도 있었다고도 했다.
3분기 성장률이 예측치를 벗어난 것에 대해 "연간으로 보면 한은이 예상하는 2.3%나 2.2%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성장률 변화가 통화정책에 주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D.C.=조유진 기자 [email protecte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lboqhen.shop) 무단전재 배포금지>